정보

청년도약계좌 정부 지원 1억원 목표 가입조건 / 신청

쿠키888 2022. 6. 3. 17:26
728x90

윤석열 정부가 공약으로 만든 2023년에 시행될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신청

▶ 청년도약계좌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위해  일정 금액을 매달 저축하면 정부에서 최대 월 40만월까지 지원해 10년 만기 1억원을 만들수 있는 정부 지원 청년 저축입니다.
정부 지원금으로 연 3.5%의 복리 효과를 활용하여 10년 후 최대 1억 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고 청년들의 사회 진출과 목돈 마련으로 내집 마련 및 결혼 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부 지원 청년 계좌 입니다.

▶ 청년도약계좌 신청 대상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만 19~34세 청년 누구나 신청가능


▶ 이율
: 연 3.5% 복리
(*시장 변동금리에 따라 소폭 상향될 가능성 있음)


▶ 일정 정액 지원 
연봉 2,400만원 이하의 근로 청년이 매달 30만원 적금을 넣으면 정부에서 40만원을 지원해 70만원을 매달 적립하는 방식이며 연봉에 따라 차등 지원합니다.
연봉 4,800만원을 초과할 시는 소득공제 혜택을 준다고 하는데요..
한마디로 연봉이 낮고 저축액이 높으면 정부 혜택이 커집니다.

연 소득 2,400만원 이하 : 40만 원 정부 지원
연 소득 2,400만원 초과 ~ 3,600만원 이하 :  20만 원 정부 지원
연 소득 3,600만원 초과 ~ 4,800만원 이하  : 10만 원 정부 지원
연 소득 4,800만 원 이상 : 소득 공제 혜택 제공
소득 수준에 따라 10만 원~ 40만 원 지원 /  10년 만기 1억 원을 만들어준다
소득이 적을 수록 고금리 적용


▶ 실시일 :
2023년부터 (*2022년 기준 내년출시)
은행과 원래 청년 금융상품과 연계를 해서 진행 중이어서 내년부터 시행


▶ 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 비교
지금 시행하고 있는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과 비교 분석을 해봅시다.

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 비교

 

청년도약계좌는 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고 기간이 10년 이상의 기간동안 예금을 유지하면 혜택이 커짐을 알 수 있습니다.
기간에 따라 부담없는 적금 상품을 이용하는게 현명한데 
단, 두 상품 모두 가입하는 것은 불가합니다.


▶ 주요 청년 지원정책의 소득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청년도약계좌 / 청년희망적금 /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월세지원사업

청년도약계좌 / 청년희망적금 /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월세지원사업

 

반응형